Hits 462

1. 이더리움 체인에서 계정을 만들면 64자리 개인키(private-key)가 나온다. 개인키에 오리고 붙이고 함수계산을 해서 공개키(public-key)를 만들고, 공개키에서 다시 주소를 만든다. 역산은 불가능하다.

2. 코인지갑에는 개인키가 저장된다. 이름과 달리 코인은 저장 안된다. 코인 거래 정보가 담긴 트랜잭션에 개인키로 서명을 해야 전송이 된다.

3. 개인키를 BIP-39 알고리즘으로 인코딩 하면 엔트로피값이 나온다. 이걸 다시 16진수값으로 변환하고, 다시 12/24개의 숫자로 바꾼다. 마지막 숫자는 무결성 검증용도다.

4. 숫자와 매칭되는 단어 목록에 맞게 결합하면 니모닉코드다. 단어 목록은 영어 뿐만 아니라, 일어 한국어등 10가지 언어가 있다.

https://github.com/bitcoin/bips/blob/master/bip-0039/bip-0039-wordlists.md

5. 개인키를 코인지갑에 저장하는 건 승인확인 과정에 하드웨어 버튼을 넣어 한번 더 보안한거다. 개인키로 만든 니모닉 코드를 파일이나 온라인에 보관하면 코인지갑을 쓰는 이유가 없어진다.

6. 외우기 편하라고 나온 니모닉 코드인데 알파벳만 아는 사람한텐 영어로된 니모닉 코드도 암호문 그 자체다. 외우질 못하니 메일함에 보관하거나 텍스트 파일로 보관한다.

7. 영어로된 니모닉 코드를 단어 목록 숫자로 찾은 다음에 한글 단어 목록 찾아서 한글 단어로 니모닉 코드를 바꾸면 한결 보관하기 편해진다.

8. 첨부 이미지와 같이 (abandon) (가격) (あいこくしん)은 모두 단어 인덱스 넘버는 1로 동일하다. 한글로 오프라인에 메모를 해두고 쓸일이 있을 때 영어로 다시 바꿔쓰자.

#MNEMONIC #BIP39

20 Others

15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