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s 146

1. 코인 시장은 특수성이 존재해 트레이딩보다 생태계 기여자가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

생태게 기여자는 메인넷이 마련된 코인의 디앱과 각종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 리워드를 수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코인, 토큰의 형태가 대부분이죠.

다들 아시겠지만 코인은 직접 트레이딩을 하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는 꿀통들이 많습니다. 코인은 100만원을 100배 먹는게 효율이 좋지 1억 가지고 100만원 만드는 곳이 아닌 겁니다.

2. 코인 시장은 레퍼럴이 거의 전부다.

레퍼럴로 벌어들이는 수익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사실상 트레이딩보다 레퍼럴 수익이 월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레퍼럴은 가장 직관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코인 생태계 대부분이 레퍼럴 수단을 이용하는데요. 해외에서는 대놓고 레퍼럴 활동만 모아놓는 사이트가 있을 정돕니다. 한국 정서에만 약간 반하는 감정이 존재할 뿐 글로벌에서는 너무나 평범한 마케팅 기법이라는 거죠.

3. 비트만은 유일하다.

지난 13년 비트코인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정해진 유통량이 늘거나 사토시 지갑 주소에서 BTC가 인출된 적이 없습니다. 과거 제네시스 블록에서 있었던 작은 이슈를 제외하고 비트코인 생태계의 근간이 흔들리는 일은 전무했다는 것이죠.

비트코인 시장이 한순간의 꿈처럼 망할려면 진작에 망했어야 했습니다. 알트는 비트코인이 만든 시장에 파생된 생태계라는 것. 알트의 존재 이유는 비트코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 비트코인을 가치저장수단으로 꾸준히 사나가는게 맞지 않나..요.

4. 메타만 잘 읽을 수 있어도 수익을 낸다.

코인은 유행처럼 한곳에 집중적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이 주식보다도 훨씬 심합니다. 유행하는 분야에 소액만 참전해도 훗날 큰 돈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이렇게 수익을 내보면 이 말의 의미를 더욱 잘 깨닫게 될 것입니다.

두번의 반감기를 지켜본 바 이 시장의 규모는 더 커질 일만 남았습니다. 다들 눈여고보고 있는 다음 사이클을 준비해보자구요.

# 비트코인
# 코인시장

34 Others

29 Others